보도자료
보도자료
전체 280건
15 / 47page
-
청년의 꿈을 빛내는 광주청년센터 운영기관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로 기업탐방 가자!! - 복지TV호남방송- (사)인재육성아카데미, 광주광역시 제 31보병사단 청년장병 대상 기업탐방형 일경험 프로그램 운영 -청년의 꿈을 빛내는 광주청년센터 운영기관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로 기업탐방 가자!(광주청년센터 제공)[복지TV호남방송] (사)인재육성아카데미(이사장 강행옥)는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와 연계하여 광주광역시 제31사단 청년장병 30명을 대상으로 8월 7일 무박 1일간 2024 기업탐방형 일경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밝혔다.이번 프로그램은 진로에 고민이 많은 청년장병을 위해 퍼스널브랜딩 특강을 진행했으며, 퍼스널브랜딩 특강을 진행한 엔젤협회 팁스타운 안영일센터장은 청년장병에게 “3개월을 꾸준히 한 사람과 3년을 꾸준히 한 사람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등 일관성과 꾸준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을 전하며 청년장병들의 진로 방향성 설정 및 동기부여의 기회를 제공했다.이후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에서 위탁받아 운영중인 광주청년센터에 방문해 구문정상임이사의 인사담당자특강을 진행하였으며,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에서 운영중인 사업과 다양한 청년정책의 정보를 소개하는 등 실제 청년장병이 군복무중 또는 군전역 이후까지 청년정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시간을 가졌다.(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 구문정상임이사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정책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제한된 환경에 있는 청년장병들이 다양한 정책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뜻깊게 생각한다.”고 전했다.(사)인재육성아카데미는 현재 ‘프로젝트형 일경험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7월 2일부터 4주간 운영된 사전직무교육 이후 7월 29일부터 프로젝트 수행에 돌입한 참여자들은 디케이(주), (주)노을커뮤니케이션즈에서 제안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이어 (사)인재육성아카데미는 다가오는 9월과 10월 특성화고교생 및 구직단념청년을 대상으로 기업탐방형 일경험 프로그램을 추가 운영할 예정이다.추후 진행 예정인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인재육성아카데미 홈페이지(https://www.mdsarang.com/)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우수한 기자 bodo@wbci.kr출처 : 복지TV호남방송 (기사본문 링크)24.08.13
-
청년의 꿈을 빛내는 광주청년센터 운영기관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로 기업탐방 가자!! - 남도일보- (사)인재육성아카데미, 광주광역시 제 31보병사단 청년장병 대상 기업탐방형 일경험 프로그램 운영 -(사)인재육성아카데미(이사장 강행옥)는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와 연계하여 광주광역시 제31사단 청년장병 30명을 대상으로 8월 7일 무박 1일간 2024 기업탐방형 일경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밝혔다.이번 프로그램은 진로에 고민이 많은 청년장병을 위해 퍼스널브랜딩 특강을 진행했으며, 퍼스널브랜딩 특강을 진행한 엔젤협회 팁스타운 안영일센터장은 청년장병에게 “3개월을 꾸준히 한 사람과 3년을 꾸준히 한 사람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등 일관성과 꾸준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을 전하며 청년장병들의 진로 방향성 설정 및 동기부여의 기회를 제공했다.이후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에서 위탁받아 운영중인 광주청년센터에 방문해 구문정상임이사의 인사담당자특강을 진행하였으며, (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에서 운영중인 사업과 다양한 청년정책의 정보를 소개하는 등 실제 청년장병이 군복무중 또는 군전역 이후까지 청년정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시간을 가졌다.(사)광주금융사회복지협회 구문정상임이사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정책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제한된 환경에 있는 청년장병들이 다양한 정책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뜻깊게 생각한다.”고 전했다.(사)인재육성아카데미는 현재 ‘프로젝트형 일경험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7월 2일부터 4주간 운영된 사전직무교육 이후 7월 29일부터 프로젝트 수행에 돌입한 참여자들은 디케이(주), (주)노을커뮤니케이션즈에서 제안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이어 (사)인재육성아카데미는 다가오는 9월과 10월 특성화고교생 및 구직단념청년을 대상으로 기업탐방형 일경험 프로그램을 추가 운영할 예정이다.추후 진행 예정인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인재육성아카데미 홈페이지(https://www.mdsarang.com/)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문의) 인재육성아카데미(062-224-7733), 이메일 (m2247734@hanmail.net)남도일보TV webmaster@namdotv.net출처 : 남도일보 (기사본문 링크)24.08.12
-
광주시, 구직청년 취업지원 서비스 인기 - 광남일보서구 치평동 ‘토닥토닥 3센터’에 하루 40∼50명 북적구두·넥타이 등 세트 대여…사진작가 촬영 실질 도움올 하반기 취업 시즌과 지방공무원 면접시험 등이 다가오면서 광주시가 구직청년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면접 정장 대여, 프로필 사진 촬영, 인공지능(AI) 모의면접 등 취업지원 서비스가 인기다.광주시는 서구 치평동에 마련된 광주청년센터 ‘토닥토닥 3센터’(전 토닥토닥 청년일자리카페)를 구직청년들이 하루 40~50명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개소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총 이용객은 6만6616명이다.‘토닥토닥 3센터’에서는 광주시가 청년(19~39세)들에게 면접 정장 대여, 이력서·프로필 사진 촬영, 공간 대관, 온·오프라인 인공지능(AI) 모의 면접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면접 정장 대여 서비스’는 5년 간 1만2000명에게 제공해 정장이 급하게 필요하거나, 일회성 면접으로 정장 구매가 부담스러운 청년들의 구직 비용을 크게 줄여주고 있다.특히 올해 초 대형병원의 간호사 채용 시즌에는 준비된 면접 정장이 동이 날 정도로 인기다.이 서비스는 정장뿐만 아니라 구두, 넥타이, 벨트까지 1인당 연간 5회, 최대 3박4일 간 대여할 수 있다.‘사진 촬영 서비스’도 구직청년들에게 매력적이다. 이력서 작성을 위한 사진은 전문작가가 현장에서 촬영하는 만큼 1:1 수정을 거쳐 증명사진을 현장에서 바로 받을 수 있다.올해부터는 취업용 포트폴리오에 사용하거나 개인의 전문성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는 프로필 촬영 서비스를 추가 제공하고 있다.청년들이 사전에 경험하지 않으면 실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AI(인공지능) 모의 면접도 온·오프라인 구분 없이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준비돼 있다.‘토닥토닥 3센터’는 접근성이 좋은 서구 치평동에 위치해 스터디룸, 회의실 등이 필요한 청년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평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 토요일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된다. 다만, 일요일이나 공휴일은 휴무다.기타 궁금한 사항은 ‘토닥토닥 3센터’에 직접 문의하거나 광주청년정책플랫폼 또는 개별 누리집에 방문 가입 후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해 이용할 수 있다.이밖에 광주시가 신규 운영하는 청년일자리스테이션과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청년센터 아지트(동구), 청춘발산공작소·청년센터플러스(서구), 청년와락(남구), 청춘이랑(북구), 청청플랫폼(광산구) 등 청년공간에서도 취·창업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권윤숙 청년정책과장은 “구직난에 처한 청년들에게 정장 대여 등 취업 지원 사업들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청년 지원 정책을 발굴해 지원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출처 : 광남일보(기사본문 링크)24.08.06
-
“정장·사진·AI모의면접 무료로 이용하세요” 광주시, 구직청년 취업지원 서비스 인기 - 매일일보서구 치평동 ‘토닥토닥 3센터’에 하루 40∼50명 ‘북적’구두‧넥타이 등 세트 대여‧사진작가 촬영에 실질 도움사진=이력서 사진촬영매일일보 = 윤성수 기자 | 올해 하반기 취업 시즌과 지방공무원 면접시험 등이 다가오면서 광주시가 구직청년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면접 정장 대여, 프로필 사진 촬영, 인공지능(AI) 모의면접 등 취업지원 서비스가 인기다.광주광역시는 서구 치평동에 마련된 광주청년센터 ‘토닥토닥 3센터’(전 토닥토닥 청년일자리카페)를 구직청년들이 하루 40~50명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개소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총 이용객은 6만6616명이다.‘토닥토닥 3센터’에서는 광주시가 청년(19~39세)들에게 ▲면접 정장 대여 ▲이력서·프로필 사진 촬영 ▲공간 대관 ▲온·오프라인 인공지능(AI) 모의 면접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면접 정장 대여 서비스’는 5년 간 1만2000명에게 제공해 정장이 급하게 필요하거나, 일회성 면접으로 정장 구매가 부담스러운 청년들의 구직 비용을 크게 줄여주고 있다. 특히 올해 초 대형병원의 간호사 채용 시즌에는 준비된 면접 정장이 동이 날 정도로 인기다.이 서비스는 정장뿐만 아니라 구두, 넥타이, 벨트까지 1인당 연간 5회, 최대 3박4일 간 대여할 수 있다.‘사진 촬영 서비스’도 구직청년들에게 매력적이다. 이력서 작성을 위한 사진은 전문작가가 현장에서 촬영하는 만큼 1:1 수정을 거쳐 증명사진을 현장에서 바로 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취업용 포트폴리오에 사용하거나 개인의 전문성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는 프로필 촬영 서비스를 추가 제공하고 있다.청년들이 사전에 경험하지 않으면 실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AI(인공지능) 모의 면접도 온·오프라인 구분 없이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준비돼 있다.‘토닥토닥 3센터’는 접근성이 좋은 서구 치평동에 위치해 스터디룸, 회의실 등이 필요한 청년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평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 토요일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된다. 다만, 일요일이나 공휴일은 휴무다.기타 궁금한 사항은 ‘토닥토닥 3센터’에 직접 문의하거나 광주청년정책플랫폼 또는 개별 누리집에 방문 가입 후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해 이용할 수 있다.이밖에 광주시가 신규 운영하는 청년일자리스테이션과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청년센터 아지트(동구), 청춘발산공작소·청년센터플러스(서구), 청년와락(남구), 청춘이랑(북구), 청청플랫폼(광산구) 등 청년공간에서도 취·창업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권윤숙 청년정책과장은 “구직난에 처한 청년들에게 정장 대여 등 취업 지원 사업들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청년 지원 정책을 발굴해 지원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윤성수 기자 maeil7001@naver.com출처 : 매일일보(기사본문 링크)24.08.06
-
광주광역시, 구직청년 정장·사진·AI모의면접 무료 대여...취업지원 서비스 인기 - 시민일보서구 치평동 ‘토닥토닥 3센터’에 하루 40∼50명 ‘북적’구두‧넥타이 등 세트 대여‧사진작가 촬영에 실질 도움▲ 광주광역시가 구직청년들의 면접정장 대여를 위해 서구 치평동에 마련한 광주청년센터 ‘토닥토닥 3센터’(전 토닥토닥 청년일자리카페) / 광주광역시 제공[광주=정찬남 기자] 올해 하반기 취업 시즌과 지방공무원 면접시험 등이 다가오면서 광주시가 구직청년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면접 정장 대여, 프로필 사진 촬영, 인공지능(AI) 모의면접 등 취업지원 서비스가 인기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서구 치평동에 마련된 광주청년센터 ‘토닥토닥 3센터’(전 토닥토닥 청년일자리카페)를 구직청년들이 하루 40~50명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개소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총 이용객은 6만6616명이다.‘토닥토닥 3센터’에서는 광주시가 청년(19~39세)들에게 ▲면접 정장 대여 ▲이력서·프로필 사진 촬영 ▲공간 대관 ▲온·오프라인 인공지능(AI) 모의 면접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면접 정장 대여 서비스’는 5년 간 1만2000명에게 제공해 정장이 급하게 필요하거나, 일회성 면접으로 정장 구매가 부담스러운 청년들의 구직 비용을 크게 줄여주고 있다. 특히 올해 초 대형병원의 간호사 채용 시즌에는 준비된 면접 정장이 동이 날 정도로 인기다.이 서비스는 정장뿐만 아니라 구두, 넥타이, 벨트까지 1인당 연간 5회, 최대 3박4일 간 대여할 수 있다.‘사진 촬영 서비스’도 구직청년들에게 매력적이다. 이력서 작성을 위한 사진은 전문작가가 현장에서 촬영하는 만큼 1:1 수정을 거쳐 증명사진을 현장에서 바로 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취업용 포트폴리오에 사용하거나 개인의 전문성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는 프로필 촬영 서비스를 추가 제공하고 있다.청년들이 사전에 경험하지 않으면 실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AI(인공지능) 모의 면접도 온·오프라인 구분 없이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준비돼 있다.‘토닥토닥 3센터’는 접근성이 좋은 서구 치평동에 위치해 스터디룸, 회의실 등이 필요한 청년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평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 토요일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된다. 다만, 일요일이나 공휴일은 휴무다.기타 궁금한 사항은 ‘토닥토닥 3센터’에 직접 문의하거나 광주청년정책플랫폼 또는 개별 누리집에 방문 가입 후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해 이용할 수 있다.이밖에 광주시가 신규 운영하는 청년일자리스테이션과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청년센터 아지트(동구), 청춘발산공작소·청년센터플러스(서구), 청년와락(남구), 청춘이랑(북구), 청청플랫폼(광산구) 등 청년공간에서도 취·창업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권윤숙 청년정책과장은 “구직난에 처한 청년들에게 정장 대여 등 취업 지원 사업들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청년 지원 정책을 발굴해 지원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정찬남 기자jcrso@siminilbo.co.kr출처 : 시민일보(기사본문 링크)24.08.06
-
광주광역시 “정장·사진·AI모의면접 무료로 이용하세요” - 데일리스포츠한국광주시, 구직청년 취업지원 서비스 인기서구 치평동 ‘토닥토닥 3센터’에 하루 40∼50명 ‘북적’구두‧넥타이 등 세트 대여‧사진작가 촬영에 실질 도움이력서 사진촬영 사진[사진=광주시 제공][데일리스포츠한국 이석희 기자] 올해 하반기 취업 시즌과 지방공무원 면접시험 등이 다가오면서 광주시가 구직청년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면접 정장 대여, 프로필 사진 촬영, 인공지능(AI) 모의면접 등 취업지원 서비스가 인기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서구 치평동에 마련된 광주청년센터 ‘토닥토닥 3센터’(전 토닥토닥 청년일자리카페)를 구직청년들이 하루 40~50명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개소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총 이용객은 6만6616명이다.‘토닥토닥 3센터’에서는 광주시가 청년(19~39세)들에게 ▲면접 정장 대여 ▲이력서·프로필 사진 촬영 ▲공간 대관 ▲온·오프라인 인공지능(AI) 모의 면접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면접 정장 대여 서비스’는 5년 간 1만2000명에게 제공해 정장이 급하게 필요하거나, 일회성 면접으로 정장 구매가 부담스러운 청년들의 구직 비용을 크게 줄여주고 있다. 특히 올해 초 대형병원의 간호사 채용 시즌에는 준비된 면접 정장이 동이 날 정도로 인기다.이 서비스는 정장뿐만 아니라 구두, 넥타이, 벨트까지 1인당 연간 5회, 최대 3박4일 간 대여할 수 있다.면접정장 대여 사진[사진=광주시 제공]‘사진 촬영 서비스’도 구직청년들에게 매력적이다. 이력서 작성을 위한 사진은 전문작가가 현장에서 촬영하는 만큼 1:1 수정을 거쳐 증명사진을 현장에서 바로 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취업용 포트폴리오에 사용하거나 개인의 전문성을 사진으로 담을 수 있는 프로필 촬영 서비스를 추가 제공하고 있다.청년들이 사전에 경험하지 않으면 실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AI(인공지능) 모의 면접도 온·오프라인 구분 없이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준비돼 있다.‘토닥토닥 3센터’는 접근성이 좋은 서구 치평동에 위치해 스터디룸, 회의실 등이 필요한 청년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평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 토요일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된다. 다만, 일요일이나 공휴일은 휴무다.기타 궁금한 사항은 ‘토닥토닥 3센터’에 직접 문의하거나 광주청년정책플랫폼 또는 개별 누리집에 방문 가입 후 원하는 서비스를 신청해 이용할 수 있다.이밖에 광주시가 신규 운영하는 청년일자리스테이션과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청년센터 아지트(동구), 청춘발산공작소·청년센터플러스(서구), 청년와락(남구), 청춘이랑(북구), 청청플랫폼(광산구) 등 청년공간에서도 취·창업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권윤숙 청년정책과장은 “구직난에 처한 청년들에게 정장 대여 등 취업 지원 사업들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청년 지원 정책을 발굴해 지원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이석희 기자 mdn007@dailysportshankook.com출처 : 데일리스포츠한국(기사본문 링크)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