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전체 290건
2 / 49page
-
[광남일보] 1980년 청년이 외쳤다면, 2025년 청년은 살아낸다 - 양윤형 광주청년센터 주임따뜻한 햇살과 함께 꽃이 피어나는 5월이 오면, 광주는 깨어난다. 그 계절의 한복판에서 1980년 5월의 광주는 다시금 사람들의 기억 속에 살아난다. 당시 시민은 청년을 중심으로 불의에 저항하며 맞섰고 민주주의를 위해 자신을 내던졌다. 일터와 강의실을 뒤로한 채 광장과 거리로 나서 피를 흘릴지언정 침묵하지 않았고, 청년은 ‘민주주의’를 외치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다. ‘이 시대의 정의는 무엇인가’ 그 치열한 물음이, 결국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만든 커다란 원동력이 됐다.그 시절 청년들에게 민주주의는 먼 미래의 이상이 아니었다. 지금 당장 이뤄내야만 하는 시대정신이자 삶의 방식이었다. 불의한 권력 앞에서 침묵하지 않았고 옳지 않은 것을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 두려움보다는 신념을 앞세워 광장에 섰고, 외면보다는 연대를 택해 행동에 나섰다. 그 이상을 향해 행동하며 온몸을 내던지는 것. 그것이 곧 민주주의이자 삶이었다.그에 비해 오늘의 청년 세대는 어떠한가. 과거 청년의 기본 소양으로 여겨졌던 ‘민주의식’과 물리적인 행동은 시민단체나 일부 활동가의 전유물이 된 것처럼 느껴진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오늘의 청년에게는 ‘개인의 생존’이 더 긴급하고 현실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높은 청년 실업률, 불안정한 노동환경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등 불안하고 암담한 현실 속에서 ‘민주주의’는 점점 개인의 삶과 관련이 없는 언어처럼 느껴지기도 한다.일부는 묻는다. ‘요즘 청년들은 왜 예전처럼 행동하지 않느냐’, ‘왜 사회에 대해 목소리 내지 않느냐’고 하지만 그런 질문은 변화한 시대의 청년의 삶을 놓친 물음이라고 볼 수 있다.지금 청년은 행동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다만, 행동의 방식과 장소가 달라졌을 뿐이다.오히려 그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민주주의를 살아가고 있다. 변화한 시대에 맞춰 목소리를 내는 방식 또한 진화했다. 공론장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더욱 활발하게 타오른다. 청년참여기구 또는 자문단으로 활동하며 정책을 제안하기도 하고, 정책을 비판하는 콘텐츠를 만들거나 확산시키기도 한다. 거리에서 구호를 외치는 대신 SNS를 통해 밈(meme)과 콘텐츠로 목소리를 낸다. 환경, 젠더, 세대갈등, 노동, 인권 등 다양한 사회적 의제를 자신의 언어로 작지만 묵직하게 질문하며 때론 광장에서 응원봉을 들고 함께 연대하기도 한다. 민주의식은 사라진 게 아니라 시대에 맞게 새롭게 실천되고 있다.오늘의 청년은 민주주의를 거창한 구호 대신 자신의 삶의 언어로 외치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그 변화를 읽어내지 못한 쪽은 우리 사회일지도 모른다. 이제는 청년에게 ‘어떻게 살아야 한다’는 책임을 지우기보다는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들여다보아야 한다.그래서 5·18을 다시 마주하는 계절, 나는 스스로에게 묻는다. 민주주의란 결국 시대마다 새롭게 번역되어야 하는 ‘과제’가 아닐까. 거리로 나섰던 과거의 세대부터 일상의 자리를 지키는 오늘의 세대까지. 서로 다른 방식이지만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민주주의는 특별한 사건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오늘의 청년이 살아내고 있는 다정하고 단단한 일상들 속에도 조용히 피어나고 있다.불의를 외면하지 않고 남긴 댓글 하나, 작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 하나, 주변의 소외된 이에게 건네는 따뜻한 한마디가 바로 민주주의의 실천이다. 그 작은 움직임들이 새로운 연대가 되고, 시대의 언어가 된다. 눈에 확연히 띄지 않았을 뿐, 그들은 여전히 묻고, 연결하고, 행동하고 있다.오늘의 청년은 그렇게 자기만의 방식으로 민주주의를 살아내고 있다. 과거의 외침이 광장에서 울려 퍼졌다면 지금의 외침은 일상 속에 조용히 스며든다. 다른 방식이지만, 다르지 않은 마음이다. 중요한 건 마음의 방향이다. 민주주의를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 즉, 과거의 틀로 오늘의 청년을 재단하지 않는 것. 그리고 오늘의 청년들이 실천하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민주주의를 제대로 읽어내야 한다. 1980년 청년과 2025년 청년이 같지만 다른 점이다.출처 : 광남일보(http://www.gwangnam.co.kr)원문 :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816546150811012925.05.26
-
[광주일보] 자립준비 청년들의 ‘아보하’를 위하여 - 마수진 광주청년센터 주임‘아보하’라는 말이 있다. ‘아주 보통의 하루’라는 뜻으로 무탈하고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담고 있다. 누군가에게는 당연한 하루가, 누군가에게는 간절한 바람이 된다. 자립준비청년들에게 이 평범함은 여전히 먼 이야기다. 하루하루 생계를 고민하고 기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아주 보통의 하루’를 살아내는 것은 결코 평범한 일이 아니다.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위탁가정 등 보호 체계에서 자란 후 18세가 되면 보호가 종료되어 스스로 살아가야 하는 청년을 말한다. ‘아동복지법’ 제38조에 따라 국가는 이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자립정착금(평균 1000만원), 자립수당(월 50만원), 주거·생활이나 취업, 심리 상담 등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지원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여전히 열악하며 제도의 실효성과 한계에 대한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이들은 퇴소 이후 주거 계약부터 공과금 납부, 식비와 교통비 마련 등 일상의 모든 것을 혼자 감당해야 한다. 정서적 지지 없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이들에게는 평범한 일상조차 벅찬 과제가 된다. 일부 청년은 당장의 생계를 위해 불안정한 일자리를 전전하거나 정부지원금을 가족에 의해 유용 당하기도 한다. 또래 일반 청년들이 가정에서 일정 부분 지원을 받으며 ‘비빌 언덕’을 갖는 것과 달리 자립준비청년들은 그런 안전망 없이 홀로서기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큰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2020년 ‘보호종료아동 자립실태 및 욕구조사’에 따르면 자립준비청년의 절반이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 ‘빈곤으로 인한 생활의 어려움’이 가장 높은 비율(33.4%)을 차지했다. 이처럼 정책상 지원이 있음에도 경제적 어려움이 주요 이유로 꼽히는 것은 지원이 단기적이거나 정착 초기 중심에 머물러 있고, 청년들의 실제 생활비 지출 구조나 위기 상황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설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이들을 돕는 전담 인력은 얼마나 될까. 2023년 기준으로 약 1만 1400명의 청년을 161명이 담당하고 있다. 1인당 평균 71명 수준이다. 전남은 1명이 136명을 맡고, 강원은 94명에 달한다. 국회입법조사처 ‘지속가능한 자립:자립지원전담기관 운영실태와 개선과제’에 따르면 자립지원전담요원들은 과중한 업무를 떠안고 있으며 처우 또한 열악해 지속적인 사후관리와 정서적 지원이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한다. 이처럼 과중한 인력 부담은 청년 개개인에게 필요한 정서적 지원은 물론 신뢰 관계 형성과 심리적 돌봄까지 충분히 이뤄지기 어려운 구조로 이어지고 있다.지원 제도 접근성도 여전히 큰 과제다. 정부는 ‘자립정보온’이라는 자립준비청년 통합 플랫폼을 통해 지원사업 및 생활 정보를 안내하고 있지만 정보 탐색과 활용 능력에는 개인차가 있어 제도 간 연계가 미흡하거나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일수록 필요한 지원을 놓치기 쉽다. 실제로 생계유지를 위해 바쁜 일상을 보내는 청년들은 지원 정보를 확인할 여유가 없어 지원을 받지 못하는 반면, 받은 사람이 또 받는 식의 중복 지원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이제는 정책의 중심축을 ‘나이’가 아니라 ‘삶의 속도’로 전환해야 할 때다. 청년 개개인의 여건과 상황에 맞춘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최소한 29세까지는 주거·생계·진로·심리 등 전반에서 보호망 안에서 자립을 준비할 수 있어야 하며 정기적인 상담과 멘토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유연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식의 전환이다. 자립준비청년들은 특별한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보통의 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과 일상을 바라고 있을 뿐이다. 이들이 성장 과정에서 충분히 누리지 못한 기회와 환경을 자립 시기에 온전히 경험할 수 있도록 사회는 이를 함께 보완해 나갈 책임이 있다.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고 지역사회와 민간, 공공기관이 협력해 청년 곁에 오래 머물며 동행해야 한다.여전히 ‘아보하’조차 누리지 못하는 청년들이 존재하는 이 사회에서 우리는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가. 자립준비청년들이 평범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이제는 그들이 마주한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한 사람의 삶이 바로 설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진지하게 마주해야 할 때다.출처 : 광주일보(http://www.kwangju.co.kr/ )칼럼원문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4766680078421112625.05.20
-
광주청년센터-관광기업지원센터, 청년·관광산업 위해 맞손광주청년센터-관광기업지원센터, 청년·관광산업 위해 맞손-지역 활력 위해 교류·협력을 위한 네트워킹의 장 마련광주청년센터는 15일 “전날 광주관광기업지원센터와 관광기업지원센터에서 청년 지원 및 지역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은 두 기관이 청년의 도전과 지역 관광 산업의 활력을 함께 만들어가기 위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됐다.협의 주요 내용으로는 ▲청년 대상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상호협력 ▲양 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청년지원사업의 다각화 ▲청년창업자와 관광기업 간 교류·협력을 위한 네트워킹의 장 마련 ▲기타 공통 관심분야에 대한 다각적인 상호협력 방안 모색 등이다.이번 협약은 청년과 관광이라는 두 축을 연결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으며 앞으로 양 기관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김태진 광주청년센터장은 “청년들이 지역에서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먼저 손 내밀어준 광주관광기업지원센터와의 연결과 협력을 바탕으로 청년의 내일이 빛나는 광주를 만들기 위해 다방면의 정책·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한편 지난 2015년 개소한 광주청년센터는 광주시 기본조례에 근거해 청년정책을 수행하는 지원기관으로 청년들과의 소통과 연결을 통해 청년지원정책을 발굴하고 실행하고 있다.출처 : 광주매일신문기사보러가기 :http://www.kjdaily.com/article.php?aid=174729828165617300425.05.19
-
광주청년센터, 청년의 시선에서 청년정책을 알리는 ‘청년정책톡파원’ 모집광주청년센터, 청년의 시선에서 청년정책을 알리는 ‘청년정책톡파원’ 모집- ‘광주 청년정책, 청년이 알린다‘ 광주청년정책 서포터즈 출범 예고- 광주청년정책 톡파원, 21일까지 참여자 모집광주청년센터(센터장 김태진)가 청년의 시선에서 청년정책을 알리는 청년정책 서포터즈광주 청년톡파원 1기를 모집한다고 밝혔다.광주 청년톡파원은 청년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직접 ‘톡(Talk)파원’이 되어 청년정책을 위트있게 홍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모집 기간은 5월 21일까지다. 콘텐츠 제작에 관심과 역량이 있는 광주 청년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모집 분야는 블로그(글·사진)와 유튜브(영상) 두 가지로, 지원자는 청년정책에 대한 이해도와 콘텐츠 기획·제작 능력을 바탕으로 서류 및 면접 심사를 통해 선발된다. 선발된 서포터즈에게는 활동에 필요한 소정의 활동비와 맞춤형 역량 강화 교육이 제공되며, 활동을 성실히 마친 참여자에게는 수료증이 수여된다.최종 선발된 광주 청년톡파원은 오는 6월부터 12월까지 약 7개월간 활동하며, 광주청년정책 관련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청년정책 수행기관 방문 ▲프로그램 홍보 ▲청년 행사 취재 ▲센터SNS 모니터링 ▲정책 개선 의견 제안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광주청년센터 고영아 주임은 “청년이 직접 정책을 취재하고 홍보하는 광주 청년톡파원 활동으로 또래 청년들이 정책을 보다 쉽고 친근하게 느끼길 바라며, 광주 청년들의 생생한 시선이 지역 정책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모집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광주청년플랫폼(https://youth.gwangju.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광주청년센터 공식 누리집www.gjyouthcenter.kr※ 문의: 광주청년센터 교류협력팀 062-232-1939 (내선번호 2번)출처 : 전남인터넷신문( https://www.jnnews.co.kr/news/ )기사원문 :https://www.jnnews.co.kr/news/view.php?idx=40441925.05.10
-
광주청년센터, 청년 자립 지원 ‘해시태그 멘토링’ 본격 추진멘토링으로 지지체계 구축과 자립 역량 강화 기대5월부터 멘토링 본격 운영으로 청년 자립 위한 프로젝트 시작광주청년센터(센터장 김태진)의 청년자립준비지원사업인 ‘해시태그 멘토링’의 오리엔테이션이 지난 5월 7일 광주청년센터 토닥토닥(상무점)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선발된 20명의 멘티와 5명의 멘토가 첫 만남을 갖고 사업의 취지와 향후 운영에 대해 안내받는 시간을 가졌다.‘해시태그 멘토링’은 자립준비청년*, 가족돌봄청년**, 한부모가족 자녀***, 자립기반취약청년**** 등 자립을 준비 중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이들이 현실적으로 겪고 있는 정보 부족, 정서적 고립, 진로 혼란 등의 어려움에 대응하고자 정서적 지지와 실질적인 자립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1:4 비율로 매칭된 멘토와 멘티는 총 20여회에 걸친 멘토링을 통해 정서적 지지와 실질적인 진로 상담을 이어갈 예정이다. 멘티들이 진로 설정, 학업 및 자격증 취득과 취업 준비 등 자기 성장을 목표로 자립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청년 지원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들이 멘토로서 자기소개서 및 면접 코칭과 진로 탐색 방법 안내 등 구체적인 지원을 제공함은 물론, 필요시 외부 자원 연계와 같은 실질적인 도움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광주청년센터는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지원금으로 1인당 최대 80만원과 월 참여수당 60만원을 제공하며 금융·재정 관리, 심리·정서 회복 등 실생활에 밀접한 주제의 공통 교육도 함께 지원한다.광주청년센터 마수진 주임은 “이 프로그램은 청년 개인의 삶에 진심으로 다가가 함께 고민하며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멘티와 멘토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센터도 곁에서 든든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해시태그 멘토링’은 5월부터 9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며, 광주청년센터는 청년들이 지역사회와 연결되어 독립적인 삶을 주도해 나가는 과정에 함께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자립준비청년: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등에서 보호연장 또는 종료된 청(소)년**가족돌봄청년: 고령, 장애, 질병 등의 문제를 가진 가족을 돌보며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중위소득 100%이하인 청(소)년***한부모가족의 자녀: '한부모가족지원법'제4조제2항에 해당하는 가정의 자녀이면서 중위소득 63% 이하인 청(소)년****자립기반 취약청년: 과거 '한부모가족지원법'제4조제2항에 해당하는 가정으로 지원을 받은 이력이 있으면서 중위소득 63% 이하인 청년 또는 복지 수급자나 기초생활수급자로 경제적 어려움을 입증할 수 청년출처 : 호남교육신문(http://www.ihopenews.com)기사보러가기 :https://www.ihop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3984연관기사 보러가기광주드림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56692뉴스1 :https://www.news1.kr/local/gwangju-jeonnam/5776657전남인터넷신문 :https://jnnews.co.kr/news/view.php?idx=404166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article.php?aid=1746695953506788023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article.php?aid=1746699203655756004남도일보TV :광주청년센터, 청년의 자립을 지원하는 ‘해시태그 멘토링’ 본격 추진 - 남도일보TV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516_0003178758아시아경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51812073705178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6340870?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518070040데일리한국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7462뉴스워커 :https://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9427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160270045571583데일리스포츠한국 :https://www.dailysportshankook.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5379전남일보 :https://www.jnilbo.com/7707629678925.05.08
-
광주청년센터, 김만권 교수 초청 '청년, 다시 봄' 개최디지털과 능력주의가 만든 '청년 고립' 조명... "외로움은 사회구조 문제"[뉴스웍스=차해미 기자] 광주청년센터가 지난 29일 '외로움의 습격'의 저자이자 경희대학교 학술연구교수인 김만권 교수를 초청해 청년정책담론 '청년, 다시 봄' 2회차 행사를 개최했다.이번 강연은 '외로움'을 주제로, 현대 사회에서 고립과 소외를 겪는 청년 현실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행사에는 20여 명의 청년과 시민이 참여했다. 김만권 교수는 "외로움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 기술의 가속화와 능력주의 확산에 따른 불평등한 사회 구조가 만들어낸 필연적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어 "누군가와 연결되지 못하는 상황이 울분으로 번질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책임이 아닌 사회가 먼저 해결해야 할 구조적 문제"라고 강조했다.그는 "들어주는 사람이 있는 한 우리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며"이번 강연이 외로움의 본질과 원인에 대해 함께 성찰과상호 이해와 연결의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외롭지 않은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김태진 광주청년센터장은"향후지역 청년들과 함께 공론장을 조성하고,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출처 : 뉴스웍스(https://www.newsworks.co.kr)기사원문 보러가기 :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4178연관기사 보러가기남도티비 :광주청년센터, 청년의 사회적 고립에 대해 김만권 정치 철학자와 함께 청년, 다시 봄 - 남도일보TV오마이뉴스 :"외로움, 개인 문제 아닌 디지털 가속화와 능력주의로 인한 사회 문제"호남교육신문 :https://www.ihop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386625.04.30